언리얼의 기능들을 알아보고 간단한 프로그래밍코드입히기
.
https://www.unrealengine.com/ko
언리얼엔진4를 다운받을수있는 링크
언리얼을 삼인칭으로 만들면 초기화면이 이렇게된다.
언리얼은 다른게임엔진과 확실히 달라보인다. 화면의 공간에 물체를 배치한후 플레이를 누르면 공백캐릭터를 자신이 게임하듯이 직접움직여 플레이할수있다.
그럼 옆에 큐브를 드래그해서 드래그해보자 참고로 배치하고 키보드의 end버튼을누르면 바닥에 내려간다.
그리고 스페어를눌러 공도하나 만들어주자
그리고 오른쪽 physics에 simulate physics를 체크하면
플레이했을때 캐릭터로 공을 이리저리 차고 움직이게 할수있다.
플레이를 눌렀을때 사물들을 차고 굴리고 다닐수있다는것을 알수있다.
지금보면 프로그래밍코드를 입힌것인데 이렇게 언리얼의 특징은 다른게임엔진들과 다르게 직접소스코드를 입력하는게아니라
실수가 적어지는 장점이있노드를 연결시켜서 하는방식이라 더쉽기도하고 간단하고 실수가적어지는 장점이있다
지금 헬로우월드띄우고 연산자에대해서 코딩을 했다. 하는과정과 설명을 하려고했으나
스샷이없는관계로 나중에 자세히 포스팅하기로 하겠다.
지금부터 캐릭터가 가까이가면 불이들어오는 상자를 만들어보겠다 왼쪽에 포인트라이트를 생성하여 상자속에 집어넣는다.
캐릭터가 어느범위안에 들어오면 불이들어오게하기위해 범위를 지정해야되는데 박스트리거가 그역활을 해준다
박스트리거를 생성하여 범위를 지정해준다.
그리고 포인트라이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블루프린트를 눌러 오른쪽클릭해 포인트라이트에 대한 레퍼런스생성을 클릭한다.
그리고 박스트리거를 선택한후 OnActorendoverlap과 OnActorbeginOverlap을눌러준다
그러면 이렇게 총3개의 노드가 생성된다.
포인트라이트에 노드연결선을 드래그해 끌어온상태에서 오른쪽마우스클릭.
그러면 액션 선택창이 나오는데 검색창에 set를 치고 setVisibillity를 선택한다.
그러면 이렇게 되는데 setvisibillity가 연결되어나오는데
Ctrl+W를 눌러 하나를 복사하누디에 이전에 생성했던 빨간색노드 두개에 연결한다.
그리고 컴파일하고 플레이를누르면
이렇게 가까이가면 상자에 불이들어오는것을 볼수가있다.
지금까지 언리얼의 기능들을 알아보고
가까이가면 불이들어오는 상자를 만들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