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모델링은 복잡할수록 데이터의 용량이커져 렌더링시 부하가 생길수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중에하나가 LOD다.
LOD(level of detail)은 메쉬모델링 데이터를 단계별로 저장하는 기술이다. 쉽게말해서 렌더링된 이미지가 큰기여도가 없을때 간략하게 표현하는방법이다.
LOD는 보통 정적LOD와 동적LOD로 나뉘는데 지형물에는 대부분 동적LOD가 사용되고 원래는 캐릭터에 정적LOD방식을
많이사용했지만 GPU기능의 발달로 캐릭터에도 동적LOD를 쓰는추세이다.
정적LOD (static LOD)는 카메라와 물체의 거리에따라서 가까운 거리에있는 물체를 정밀한메쉬를쓰고
멀리있는물체는 상대적으로 낮은단계로 쓰는방식이다.메쉬의 정밀도가 정해져있는데 이를 카메라와의 거리에따라서 바꿔치기한다.
이 방식은 연산이간단하여 속도가 빠르지만 여러단계의 메쉬를 갖고있어 메모리낭비가 심하고 거리에따라서 메쉬의 단계가
급격하게 변해 popping현상이 자주일어난다.
popping현상:거리에 따라 폴리곤수가 늘어나거나 줄면 오브젝트가 튀어나오는 현상.
메쉬의 급격한 레벨차이로 다른레벨사이에 구멍이 뚫리는현상
동적LOD는
거리에따라서 실시간으로 메쉬의 정밀도를 변화시키는것이다.
이방식의 장점은 거리에따라 정밀도가 바뀌는 방식이기때문에 메모리의 낭비가적다 단점은 메쉬분할이나 간략화에 따른
추가적인 연산이 많이 필요해서 렌더링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게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의 맵로드 3가지 방식 존,심리스,룸 (0) | 2016.04.25 |
---|---|
빌보드(Billboard) (0) | 2016.04.13 |
drawcall에 대하여 (0) | 2016.03.29 |
Ridefilm <라이드 필름> (0) | 2016.03.22 |
최적화의 필수 culling기법 (0) | 2016.03.20 |